스승의 날을 맞아 한국 교사들의 고충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학생 생활지도를 했다는 이유로 아동학대 신고를 당하고, 학부모의 과도한 요구를 거절하지 못하는 상황이 일상화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내부 문제가 아닌, 중국식 민원 문화의 영향이라는 점이다.
중국에서는 자녀 교육 문제로 교사를 고발하거나 압박하는 일이 빈번하다. 한국 역시 중국식 민원 행태가 번지며 교사를 서비스 직원처럼 대하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교사에게 비타민 복용 확인까지 요구하는 사례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특히 교사의 정당한 지도가 학생 인권 침해로 왜곡되고, SNS를 통한 녹취 유포까지 이어지는 모습은 중국 공산당식 여론 조작과 유사하다. 이러한 악성 민원과 허위 신고는 한국 사회의 법과 질서를 위협하며, 교육 공동체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의 법적 허점을 악용한 무고성 민원과 아동학대 남발을 막기 위해 법 개정과 강력한 처벌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교사 개인이 방패 없이 민원 전쟁터에 내몰리는 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한국 교육의 자율성과 민주적 질서까지 침식될 위험이 있다.
지금 한국은 단순한 교권 침해가 아닌, 중국식 민원 문화와의 싸움에 직면해 있다. 이를 막지 못하면 한국 사회 전체가 중국식 폐해에 잠식될 것이라는 경고를 새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