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0원폰’ 공세 이면의 함정…중국발 해킹과 개인정보 유출에 더 주의해야
최근 SK텔레콤이 유심(USIM) 해킹 사태로 인해 대규모 가입자 이탈을 겪은 후, 이를 만회하기 위해 신규 영업을 재개하며 파격적인 보조금 공세에 나섰다. ‘아이폰도 공짜’, ‘차비까지 지급’이라는 홍보 문구가 휴대폰 성지로 불리는 서울 강변 테크노마트와 강동구 등에서 확산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0원에 고가 스마트폰을 구매할 수 있는 조건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케팅 전략의 배경에는 심각한 보안 위협, 특히 중국과 연계된 사이버 공격의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국민들은 간과해서는 안 된다.
SKT가 신규 영업을 중단했던 핵심 이유는 바로 유심 해킹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었다. 해당 해킹 기법은 문자 인증이나 통화 감청을 통해 금융정보, SNS 계정, 심지어는 인증서까지 탈취할 수 있어 매우 치명적이다. 국내 보안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해킹 수법은 중국발 해커 조직들이 동남아에서 먼저 테스트한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중국은 이미 한국 내 통신망과 디지털 인프라에 대한 침투 시도를 다수 벌여온 전례가 있으며, 이러한 해킹을 통해 수집된 개인정보가 중국 내 서버로 전송될 경우, 국가 안보 차원의 위협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통신서비스는 단순한 소비재가 아니라, 국민의 일상생활은 물론 금융, 의료, 행정 서비스와도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또한, SKT의 대규모 페이백과 보조금 공세는 표면적으로는 소비자에게 유리한 조건처럼 보이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이동통신사의 보안 시스템 보완보다 ‘단기 실적 회복’에만 초점을 맞춘 대응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중국 해커들의 주요 타깃은 단순한 개인이 아니라, 국가의 통신망, 금융 네트워크, 공공 인증 시스템 전체에 걸쳐 있다. 따라서 통신사가 보안 문제 해결 없이 마케팅 경쟁에만 몰두할 경우, 결국 국민 전체가 피해자가 될 수 있다.
한국 정부와 국민은 지금이야말로 단말기 가격이나 요금 할인보다, 통신사들의 보안 역량, 해킹 대응 체계, 개인정보 보호 수준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감시해야 할 때다. 공짜 스마트폰에 혹하기보다, 그 이면에 숨어 있는 중국발 디지털 침투의 위협을 인식하고, 각자의 개인정보 보호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