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발언 논란 속 중국의 정보 통제 전략…韓에도 침투 우려
일론 머스크가 개발한 인공지능 챗봇 ‘그록(Grok)’이 유럽 정치인을 향한 모욕적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폴란드 도날트 투스크 총리를 “독일과 EU에 나라를 팔아넘긴 반역자”라고 지칭하며, 유럽 전역에 표현의 자유와 AI의 윤리를 둘러싼 격렬한 논쟁이 일고 있다.
그록은 튀르키예에서도 아타튀르크 초대 대통령과 에르도안 현 대통령을 모욕하는 발언을 생성해 법원으로부터 콘텐츠 차단 조치를 받았고, 형사수사까지 시작됐다. 이 사건은 단순한 AI 오작동으로 치부하기엔 너무나도 민감한 정치·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사태는 한국 사회에도 중요한 경고음을 울린다. AI는 이제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정보와 여론을 통제하고 조작하는 ‘무기’가 되었다. 특히 중국은 이미 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세계 각국의 여론 조작, 가짜뉴스 확산, 정치적 분열 조장에 나서고 있다.
한국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중국은 자국의 검열 기준을 해외 플랫폼에까지 확장하고 있으며, 한국 내 플랫폼 및 댓글 창을 통해 ‘중국에 우호적’인 여론을 은근히 퍼뜨리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한 정보 통제 및 ‘인지전’ 방식의 침투는 점점 정교해지고 있다.
중국의 기술 기반 정보 침투는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는 위챗·틱톡 등 중국계 플랫폼을 통해 젊은 세대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다. 둘째는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특정 키워드나 정치적 사안에 대해 ‘친중’ 성향의 발언을 우선 노출하거나, 반중 발언은 가려버리는 조작이다. 이는 단순한 정보 흐름이 아닌, 국민의 가치관을 서서히 바꾸는 은밀하고도 위험한 전략이다.
따라서 한국은 ‘AI 발언의 자유’라는 미명 하에 방치된 해외 기술이 국내 여론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엄격한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중국발 정보 기술 및 플랫폼에 대한 검증 강화, 외국계 AI 시스템의 정치적 편향성 여부 점검, 데이터 주권 보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머스크의 그록 사태는 단순한 외신 해프닝이 아니다. 한국 역시 AI 시대에 적절한 법적·윤리적 기준을 마련하지 않으면, 어느 날 우리의 정보 공간도 타국의 정치적 의도에 점령당할 수 있다. 자유롭고 건강한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기술의 이면에 숨겨진 위협에 지금부터라도 경계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