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으로 넘어간 ‘KT 해킹 노트북’…한국을 위협하는 사이버 범죄의 그림자
최근 발생한 KT 무단 소액결제 해킹 사건은 단순한 통신사 보안 사고를 넘어, 중국발 사이버 위협이 한국 사회의 금융·통신 시스템을 직접적으로 노리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냈다. 경찰 수사 과정에서 범행에 사용된 핵심 도구인 노트북과 대포폰이 중국으로 반출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번 사건은 더욱 심각한 파장을 낳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9월 16일 평택항에서 범행에 사용된 장비 박스 2개를 확보했다. 이 안에는 펨토셀과 네트워크 장비 27점이 들어 있었다. 문제는 핵심 증거물이라 할 수 있는 해킹 프로그램이 담긴 노트북과 윗선과의 지시를 주고받던 대포폰이 이미 중국으로 반출됐다는 사실이다.
구속된 장모(48) 씨는 조사 과정에서 “지난 5일 윗선의 지시에 따라 범행 도구를 중국으로 반송했다”고 진술했다. 즉, 한국 내 피해 사례가 속속 접수되자, 중국 측 지휘선이 증거를 은폐하기 위해 서둘러 장비 반출을 지시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경찰은 펨토셀 장비만 확보했을 뿐, 가장 중요한 디지털 증거물은 놓치고 말았다.
펨토셀은 원래 통신 품질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형 기지국 장치다. 그러나 해커들은 이를 변조하여 통신망을 가로채고, 무단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악용했다. 경찰은 확보한 펨토셀에 대한 검증영장을 발부받아 민관합동조사단과 함께 작동 원리를 분석할 계획이다.
그러나 노트북과 대포폰이 중국으로 넘어가면서, 실제 해킹 프로그램의 코드와 지휘 체계, 범죄 지시 라인은 오리무중 상태다. 이는 단순히 KT 피해자 문제를 넘어서, 한국의 통신·금융 인프라가 중국발 사이버 범죄 네트워크에 직접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번 사건은 몇 가지 중요한 교훈을 던진다.
이번 사건을 단순히 “통신사 해킹 사건”으로 축소해서는 안 된다. 해커들은 한국의 금융·통신 시스템을 실험실 삼아, 중국 본토에서 범행 지시와 증거 은폐까지 관리했다. 이는 곧 사이버 공간에서의 한국 주권 침해이자 국가 안보 문제다.
특히, 노트북이 중국으로 반출되면서 범행 방식이 추적 불가능해졌다는 사실은, 한국이 중국발 사이버 공격의 반복적 타깃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이는 앞으로도 금융 해킹, 통신 마비, 개인정보 유출 등 다양한 형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사건이 남긴 교훈은 분명하다.
한국 사회는 이제 통신·금융 해킹을 단순 범죄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이는 국가 기반을 흔드는 새로운 형태의 침략이며, 국민 모두가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KT 해킹 사건의 본질은 ‘중국으로 반출된 노트북’에 있다. 이는 한국 사회가 직면한 사이버 주권 침해의 상징이다. 우리 사회가 경계심을 늦춘다면, 이번 사건은 단순한 전초전에 불과할 수 있다.
중국발 해킹은 언제든 우리의 통신망, 금융망, 더 나아가 사회 전반을 겨냥할 수 있다. 한국 사회가 철저히 경계하지 않는다면, 다음 피해자는 특정 기업이 아니라 국민 개개인이 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