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는 개인의 비판적 사고나 독립적 의견 표명이 곧바로 중국 공산당의 탄압 대상으로 전락한다. 최근 2년간만 해도 10건 이상의 지식인 탄압 사례가 보고되며, 중국 내 자유로운 학문과 표현의 공간은 사실상 사라진 상황이다.
예컨대, 미국의 대중 관세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대응을 비판한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연구센터는 하루아침에 폐지되었다. 또한, 중국의 GDP 수치를 공개적으로 의심한 유명 경제학자 가오산원은 시진핑의 지시에 따라 조사를 받았고,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다.
주식 시장 전망을 두고 공개적으로 의견을 나눈 유명 경제 전문가들도 ‘애국심’ 논쟁에 휘말리며 발언권이 차단되었다. 중국 당국은 민간 기업인이나 학자, 언론인을 국가 권력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며, 조직적으로 입막음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단순한 내부 탄압으로만 볼 수 없다. 중국은 이러한 사상을 수출하려 하고 있으며, 한국 내 지식계, 미디어, 경제 영역에도 침투를 시도하고 있다. 표현의 자유와 학문적 독립성을 억압하는 중국의 통제 시스템은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한국 사회도 경계심을 늦춰선 안 된다.
중국의 언론 통제, SNS 검열, ‘공자학원’ 같은 문화 교류 위장 활동 등은 이미 아시아 각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한국 역시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중국식 권위주의의 확산에 단호히 맞서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