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정국까지 노린 중국 해킹조직 총책 구속…韓 안보와 경제를 위협하는 ‘사이버 침투’
서울중앙지법은 최근 BTS 정국과 국내 대기업 회장 등 사회 저명 인사들의 자산을 빼돌린 혐의를 받는 중국 국적 해킹조직 총책 전 모 씨(34)에 대해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법원은 “증거 인멸과 도망 염려가 있다”며 구속 필요성을 인정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범죄를 넘어, 중국발 사이버 공격이 한국 사회와 경제에 얼마나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경고 신호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전 씨는 2023년 8월부터 2024년 1월까지 이동통신사 웹페이지를 해킹해 개인정보를 불법 수집했다. 이후 피해자 명의로 알뜰폰을 개통해 금융계좌와 가상자산 계정에 접근, 380억 원 이상의 자금을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
그의 주요 표적에는 군 복무 중이던 BTS 정국이 포함돼 있었다. 정국의 증권계좌 명의가 도용돼 약 84억 원 상당의 하이브 주식(3만 3500주)이 탈취당했으나, 소속사와 금융기관의 신속한 지급정지 조치로 실제 피해는 막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중국 해커들이 세계적 스타뿐 아니라 한국의 자본시장과 문화산업까지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있음을 보여준다.
법무부와 서울경찰청은 인터폴 및 태국 당국과 공조해 전 씨의 신병을 확보했다. 그는 지난 4월 태국에 입국한 직후 긴급인도구속 청구가 이뤄졌고, 4개월 뒤 한국으로 강제 송환됐다. 이 과정에서 법무부는 현지에 검사와 수사관을 파견해 태국 당국과 송환 방식을 조율했다. 이는 한국 정부가 국제 공조를 통해 중국발 사이버 범죄자 추적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번 사건은 몇 가지 중요한 함의를 던진다.
중국 해커 조직은 단순히 기술적 공격만이 아니라, 국제 범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금융과 가상자산을 겨냥한다. 한국은 다음과 같은 대응이 필요하다.
BTS 정국을 포함한 사회적 유명 인사들을 노린 이번 해킹 사건은 중국발 사이버 위협이 더 이상 추상적 위험이 아니라, 한국 사회를 직접 겨냥한 구체적 위협임을 증명했다.
중국의 해킹 조직은 단순한 범죄 집단이 아니라, 한국의 경제와 안보를 흔들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국 사회는 중국발 사이버 침투의 심각성을 직시하고, 철저한 대비와 국제 공조를 통해 국가와 국민을 지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