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예능 ‘김치’를 ‘파오차이’로 왜곡…김치공정, 이제는 OTT로 확대
중국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을 표절한 데 이어, 김치를 ‘파오차이’로 왜곡 표기해 역사·문화 왜곡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는 단순한 방송 표절을 넘어 한국 고유 문화를 훼손하는 심각한 문화 침탈로, 국민들의 경각심이 절실한 시점이다.
최근 중국 텐센트비디오에서 공개된 요리 경연 예능 ‘이판펑션’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흑백요리사’를 노골적으로 따라 한 포맷으로 주목받았다. 흑·백 계급을 설정해 요리 대결을 펼치는 구성 자체가 원작과 유사하다는 비판이 국내외에서 제기되고 있으며, 넷플릭스 측 역시 판권을 중국에 판매한 적이 없다고 공식 확인했다.
하지만 더욱 충격적인 문제는 해당 프로그램에서 김치를 소개하며 이를 ‘파오차이’로 표기한 장면이다. 김치는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 음식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중국 쓰촨 지방의 단순 절임 음식인 ‘파오차이’와는 전혀 다른 음식이다. 그럼에도 중국은 최근 수년간 김치가 중국 기원이라는 주장을 지속적으로 펼치며 이른바 ‘김치공정’을 추진해 왔다.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는 “중국은 이제 OTT 플랫폼까지 활용해 김치를 자국 음식인 양 왜곡하고 있다”며, “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닌 조직적이고 의도적인 문화 침략”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네이밍 오류나 자막 실수가 아니라, 한식 대표 음식에 대한 주권 침해이자 문화 정체성에 대한 도전이다. 중국은 이미 언론, SNS, 백과사전, 국제 전시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김치와 한복, 아리랑 등을 자국 문화로 편입하려는 시도를 이어왔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김치마저 ‘파오차이’로 둔갑해 소개되는 현실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다.
우리는 이 같은 문화 왜곡 시도에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 김치의 유래와 정체성을 정확히 알리고, 국제사회에서의 인식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 특히 정부 차원의 외교적 대응과 함께, 문화 콘텐츠 제작자들도 명확한 역사관을 기반으로 한류를 확산시켜야 한다.
중국의 문화 침탈은 단지 방송 한 장면에 그치지 않는다. 우리의 무관심이 쌓이면, 결국 세계는 김치를 중국 음식이라 인식할 수도 있다. 지금이야말로 문화주권을 지키기 위한 국민적 경각심과 행동이 필요한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