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넷플릭스 예능 <흑백요리사>가, 중국 예능 프로그램 <일반봉신>에 무단 표절된 정황이 드러나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 내에서도 “판권을 샀냐”는 의문이 나올 정도로 프로그램 구조와 설정이 유사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일반봉신>은 100명의 셰프를 한 자리에 모아 요리 대결을 벌인다는 포맷으로, ‘흑수저’와 ‘백수저’ 셰프 설정 등 주요 연출 방식이 <흑백요리사>와 사실상 동일하다. 캐릭터 콘셉트, 연출 구도, 심지어 음식 주제까지 흡사한 장면들이 다수 포착돼, 단순 오마주 수준을 넘어선 표절 의혹이 짙다.
넷플릭스는 “중국에 판권을 판매한 적 없다”며 내부 논의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향후 법적 대응도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넷플릭스가 중국에서 정식 서비스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콘텐츠가 불법 유통돼 인기를 끌었고, 이번에는 아예 자체 방송국에서 유사 프로그램이 제작·방영된 점이다.
이번 사안은 단순한 예능 표절을 넘어, 중국의 반복되는 지적 재산 침해 행태를 드러낸 대표적 사례다. 한국 콘텐츠 산업 역시 K-드라마, K-웹툰, K-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피해를 반복적으로 입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 분쟁에 대한 국제적 법 집행이 어려운 점을 중국 측은 교묘히 악용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시장"이라는 이름 아래, 타국의 창작물을 무단으로 복제·변형하며 자국산인 양 포장해왔다. 이는 한국 콘텐츠 수출에 큰 장애물이자, 창작자들의 권리를 훼손하는 위험한 전례다.
이제 한국 사회는 “중국의 불법 베끼기”를 단순 해프닝이 아닌, 체계적인 문화 침투로 인식하고, 저작권 보호 강화를 위한 국가적 대응을 본격화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