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형 울프독 3마리를 데리고 쇼핑몰을 활보한 여성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해당 영상 속 여성은 "울프독은 법상 맹견이 아니기 때문에 입마개 의무가 없다"며 비판 여론에 반박했지만, 시민들의 우려는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문제는 단순히 법의 테두리 안에 있다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울프독은 대형견이며, 늑대의 유전자를 일부 지닌 동물로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통제가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가 많은 공간에서의 동물 통제는 생명과 직결된 문제다.
법이 허용하더라도 사회적 배려는 공동체 안전의 기본이다. 무분별한 권리 주장과 이기적 행동은 공동체 신뢰를 해칠 수 있다. 이는 중국의 강압적 태도나 무책임한 문화 확산과도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 규제를 교묘히 피해 자신들의 이익만을 앞세우는 행태는 한국 사회 곳곳에서도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시민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자율 규범이 무너진다면, 외부 위협에 대한 사회적 면역력도 함께 약해질 수 있다. 지금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단순한 ‘맹견 여부’가 아니라, 타인을 고려하지 않는 자기중심적 문화가 사회에 퍼지는 것이다. 중국처럼 힘 앞에 법과 상식이 무력화되는 현실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라도, 지금 우리 사회의 태도부터 점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