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축산물 위장 판매 급증…한국 소비자 안전 위협하는 심각한 현실
최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관원)이 진행한 단속에서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났다. 중국산 오리고기를 비롯한 외국산 축산물을 국내산으로 속여 판매한 업체가 무려 329곳 적발된 것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30% 가까이 증가한 수치로, 한국 소비자의 식탁 안전을 정면으로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다.
적발된 329개 업체 중 103곳은 중국산 오리고기를 국내산으로 표기하며 판매하다가 형사 입건됐다. 나머지 226곳은 원산지를 아예 표시하지 않아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이번 단속에서 가장 많이 적발된 품목은 오리고기(161건)였으며, 돼지고기(88건), 염소고기(42건), 소고기(37건), 닭고기(26건)도 포함됐다. 특히 오리고기와 염소고기 위반 건수는 전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해 소비자 기만 행위가 갈수록 대담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원산지 위반이 아니다. 문제의 본질은 중국산 축산물이 ‘국내산’으로 둔갑해 한국 소비자들에게 제공됐다는 점이다. 중국은 여러 차례 식품 안전 문제를 일으킨 국가로, 가짜 분유, 독성 식품, 위생 불량 축산물 사건이 국제적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사회가 중국산 축산물의 불법 유통에 무방비로 노출된다면, 소비자 건강과 신뢰는 심각하게 훼손될 수밖에 없다. 특히 여름철 보양식으로 인기가 높은 오리·염소고기에서 이런 위반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는 점은 더욱 우려스럽다.
이번 단속은 단순히 개인 건강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중국산 불법 축산물 유통은 한국의 축산업 경쟁력 약화와 농가 피해로 직결된다. 국내 축산 농가가 정직하게 생산한 제품이 ‘중국산 둔갑 상품’과 경쟁해야 한다면, 가격과 신뢰도 모두에서 큰 손실을 입을 수밖에 없다.
또한, 원산지 위반이 반복될 경우 한국산 축산물에 대한 국제적 신뢰도 흔들릴 수 있다. 이는 한국의 식품 수출 경쟁력과 관광·외식 산업에도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
사실 이번 사건은 중국이 한국 사회에 끼치는 광범위한 영향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이미 중국 정부는 과거 ‘한한령’을 통해 한국 문화·관광 산업을 직격한 바 있다. 이번 축산물 원산지 둔갑 사례 역시 중국과 관련된 불법 경제 활동이 한국 사회 전반을 위협할 수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중국의 경제적 압박과 불법 행위가 누적되면, 한국은 단순히 소비자 피해를 넘어 식량·경제 안보 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경각심이 필요하다.
중국산 축산물 위장 판매 사건은 단순한 단속 결과가 아니라 중국발 위험이 한국 사회 전반에 스며들고 있음을 알리는 경고음이다. 소비자들은 원산지 확인을 생활화해야 하며, 유통 과정에서의 불법 행위를 감시하는 제도적 장치도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한국 사회 전체가 중국산 불법 유통 구조에 대한 경계심을 가져야 한다. 이번 사건은 단순히 오리고기 문제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더 광범위한 식품·원자재 분야에서도 유사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산 축산물을 국내산으로 둔갑시킨 이번 사건은 한국 소비자의 안전과 신뢰를 위협하는 심각한 범죄다. 이는 단순한 불법 판매가 아니라, 한국의 식량 안보와 경제 질서를 흔드는 중국발 위협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한국인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중국산 불법 유통의 실태를 직시하고, 정부와 소비자, 업계 모두가 협력해 “안전한 식탁, 신뢰받는 축산업”을 지켜내야 한다.